맨위로가기

산울림 4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울림 4집은 산울림이 발매한 음반이다. 김창완, 김창훈, 김창익으로 구성된 밴드의 앨범으로, 특급열차, 우리 강산, 내일 또 내일 등이 수록되어 있다. 내일 또 내일은 임권택 감독의 영화 내일 또 내일의 주제가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울림의 음반 - 77 99 22
    77 99 22는 김종서, 자우림, 윤도현 밴드, 델리스파이스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참여하여 산울림의 곡들을 리메이크한 1996년 발매 옴니버스 음반으로, 각 곡마다 아티스트들의 개성이 드러나는 편곡과 해석이 특징이다.
  • 산울림의 음반 - 산울림 13집
    산울림 13집은 1991년에 발표된 대한민국의 록 밴드 산울림의 열세 번째 정규 음반으로, 〈내가 왜 여기 있는지 몰라〉를 비롯한 13곡과 라이브 보너스 트랙 두 곡이 수록되었다.
  • 서라벌레코드의 음반 - 이문세 4집
    1987년에 발매된 이문세 4집은 Side A와 Side B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영훈이 작사 및 작곡한 〈사랑이 지나가면〉, 〈밤에 머무는 곳에〉, 고은희와 듀엣으로 부른 〈이별이야기〉, 〈깊은 밤을 날아서〉 등이 수록되었고, 특히 〈이별이야기〉는 2009년 MBC 시트콤 《지붕뚫고 하이킥!》에 삽입되면서 다시 주목받았다.
  • 서라벌레코드의 음반 - 행진 (음반)
    《행진》은 1985년 발매된 들국화의 첫 번째 정규 음반으로, 16채널 녹음 기술을 최초로 도입하고 평론가들의 극찬을 받으며 한국 록 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 산울림 - 김창완
    1954년 서울 출생인 김창완은 서울대학교 졸업 후 1977년 록 밴드 산울림을 결성하여 가수로 데뷔, 음악 활동과 더불어 배우, 라디오 DJ, 저술 활동 등 한국 대중문화 전반에 걸쳐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산울림 - 77 99 22
    77 99 22는 김종서, 자우림, 윤도현 밴드, 델리스파이스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참여하여 산울림의 곡들을 리메이크한 1996년 발매 옴니버스 음반으로, 각 곡마다 아티스트들의 개성이 드러나는 편곡과 해석이 특징이다.
산울림 4집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음반명《산울림 4집》
가수명산울림
발매년월일1979년 4월 15일
구성LP
TAPE
음반 종류정규 음반
장르하드 록
길이36:05
레이블서라벌레코드
관련 음반
이전 음반《산울림 3집》 (1978)
현재 음반산울림 4집》 (1979)
다음 음반《산울림 5집》 (1979)

2. 수록곡 목록

4집은 Side A와 Side B로 나뉘어 있으며, 각 면에는 다양한 주제와 분위기의 곡들이 수록되어 있다. Side A에는 〈특급열차〉, 〈아무에게도 말할 수 없이〉, 〈풋내기들의 합창〉, 〈가을에 오시나요〉, 〈거인의 숲〉, 〈그리움〉, 〈유리인형〉이 수록되어 있고, Side B에는 〈우리 강산〉, 〈여운〉, 〈카멜레온〉, 〈어디로 갈까〉, 〈내일 또 내일〉, 〈바람 부는 강 언덕〉이 수록되어 있다. 〈내일 또 내일〉은 임권택 감독의 1979년 영화 동명 영화의 주제가이다.[2]

2. 1. Side A

Side A에는 〈특급열차〉, 〈아무에게도 말할 수 없이〉, 〈풋내기들의 합창〉, 〈가을에 오시나요〉, 〈거인의 숲〉, 〈그리움〉, 〈유리인형〉이 수록되어 있다. 〈특급열차〉는 김창훈 작사, 작곡으로 빠른 템포와 역동적인 사운드가 특징이며, 〈아무에게도 말할 수 없이〉는 김창완 작사, 작곡으로 개인의 고독을 표현한다. 〈풋내기들의 합창〉은 김하림 작사, 김창익 작곡으로 젊은 세대의 순수함을 담았고, 〈가을에 오시나요〉는 김창완 작사, 작곡으로 가을의 정서를 노래한다. 〈거인의 숲〉과 〈그리움〉은 김창완 작사, 작곡의 짧은 연주곡이며, 〈유리인형〉은 김창훈 작곡의 연주곡이다.

2. 1. 1. 특급열차 (4:31)

김창훈이 작사, 작곡하였다. 이 곡은 빠른 템포와 박진감 넘치는 사운드로 당시 시대상을 반영하는 듯하며, 질주하는 특급열차처럼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의 역동성을 담아낸 것으로 해석된다.

2. 1. 2. 아무에게도 말할 수 없이 (4:23)

김창완이 작사, 작곡했으며, 개인의 내밀한 고독과 소통의 어려움을 표현한 곡으로 해석된다.

2. 1. 3. 풋내기들의 합창 (2:41)

김하림이 작사하고 김창익이 작곡한 곡으로, 젊은 세대의 순수함과 열정을 담아낸 곡으로 보인다.

2. 1. 4. 가을에 오시나요 (2:11)

김창완이 작사, 작곡했다. 서정적인 가사와 멜로디를 통해 계절의 변화와 함께 찾아오는 그리움, 기다림의 정서를 담아낸 곡으로 해석된다.

2. 1. 5. 거인의 숲 (1:17)

김창완이 작사, 작곡한 연주곡이다. 1분 17초의 짧은 곡이지만, 강렬한 느낌을 주며 자연에 대한 경외감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2. 1. 6. 그리움 (1:24)

김창완이 작사, 작곡한 곡이다. 짧은 연주곡이지만, 제목처럼 사무치는 그리움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2. 1. 7. 유리인형 (1:36)

김창훈이 작곡한 연주곡으로, 깨지기 쉬운 유리인형의 이미지를 통해 섬세하고 여린 감성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2. 2. Side B

Side B에는 〈우리 강산〉, 〈여운〉, 〈카멜레온〉, 〈어디로 갈까〉, 〈내일 또 내일〉, 〈바람 부는 강 언덕〉 등이 수록되어 있다. 각 곡의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제목작사작곡재생 시간
우리 강산김창완김창완3:43
여운김창훈김창훈4:40
카멜레온김창완김창완2:10
어디로 갈까김창완김창완1:14
내일 또 내일김창완김창완2:59
바람 부는 강 언덕김창훈3:25



〈내일 또 내일〉은 임권택 감독의 1979년 영화 동명 영화의 주제가이다.[2]

2. 2. 1. 우리 강산 (3:43)

김창완이 작사, 작곡한 곡으로, 아름다운 우리 강산에 대한 사랑과 예찬을 담고 있으며,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2. 2. 2. 여운 (4:40)

김창훈이 작사, 작곡하였다. 곡이 끝난 후에도 귓가에 맴도는 잔잔한 감동, 즉 여운을 통해 삶의 덧없음과 성찰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2. 2. 3. 카멜레온 (2:10)

〈카멜레온〉은 김창완이 작사, 작곡한 곡이다. 이 곡은 변화무쌍한 카멜레온의 속성을 통해 시대와 환경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해야 하는 현대인의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2. 2. 4. 어디로 갈까 (1:14)

김창완이 작사, 작곡한 곡으로, 짧지만 강렬한 질문을 던지며 인생의 방향성에 대한 고민과 방황을 담아냈다.

2. 2. 5. 내일 또 내일 (2:59)

김창완이 작사, 작곡했다. 임권택 감독의 1979년 영화 동명 영화의 주제가이다.[2]

2. 2. 6. 바람 부는 강 언덕 (3:25)

김창훈이 작곡한 연주곡이다. 평화롭고 목가적인 분위기로 자연의 풍경을 음악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3. 영화 주제가

내일 또 내일〉은 임권택 감독의 1979년 동명 영화 주제가로 사용되었다.[2]

참조

[1] 웹사이트 앨범 소개 http://changwan.com/[...] 2016-10-16
[2] 웹인용 李德華(이덕화)주연┈젊음의 몸부림그려「내일 또 내일」 https://newslibrary.[...] 2024-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